명나라 영종 황제 때의 이야기이다. 황제에게는 충신 유심이 있었다. 그는 나라를 처음 세울 때, 공을 세운 집안의 자손이며 황제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다. 그는 명문가의 딸과 혼인하여 행복한 가정생활을 이루었지만 불행히도 마흔이 넘도록 자식이 없었다. 아내는 유심에게 남악 형산에 가서 신령님께 기도를 올리자고 권한다. 간절한 기도가 통했는지 산꼭대기에서 선관(신선 나라의 벼슬을 지닌 자)이 청룡을 타고 내려오더니 아내 장 씨의 품속으로 뛰어드는 꿈을 꾼다. 그리고 열 달 후에 아들이 태어났다.
유심은 아들에게 장차 충성스러운 신하라 되라는 의미에서 충렬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충렬이 7살이 되던 해, 명나라는 나이가 어린 황제가 나라를 다스리고 있었다. 나라는 혼란스러웠으며 주변국들은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토번과 가달은 몽골과 손을 잡고 명나라를 치기 위해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신하 정한담과 최일귀는 군사를 내주면 토번과 가달, 몽골까지 해치우겠다고 말하지만 그들은 간신이었다. 정한담과 최일구는 원래 신선 나라에서 벌을 받고 인간계로 쫓겨난 자들이었다. 그들이 인간계를 혼탁하게 만들 것 같아 선관이 인간계로 내려와 충렬로 태어난 것이다. 간신은 군대를 이용해 오랑캐와 힘을 합쳐 황제를 해치우려는 계획이었다. 유심은 전쟁을 말리지만 황제는 정한담의 말을 따르며 유심을 연경으로 귀양보낸다.
정한담과 최일귀는 유심의 집에 천하의 영웅이 살고 있다는 옥관도사의 점괘를 듣고 유심의 집에 불을 지른다. 바로 그때, 한 노인이 장씨 꿈에 나타나 부채를 주며 뒤뜰 담장에 숨어있다가 남쪽으로 도망가라고 알려준다. 강가에 도착한 장 씨와 충렬은 배을 얻어 탔는데 하필 그 배가 정한담과 최일귀가 파논 함정이었다.
배가 강의 중간쯤 이르자 강한 바람과 도적 무리가 나타나 덮쳤다. 배는 눈 깜짝할 사이 부셔졌고 어린 충렬은 물속에 빠지고 말았다. 도적 우두머리 마철은 장 씨의 아름다움에 반해 그녀를 아내로 삼고자 한다. 장 씨는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시간을 끌다가 도적 소굴에서 도망친다. 산길에서 만난 유심의 친척을 만나 도움을 받는다.
한편, 물에 빠진 충렬은 필사적으로 헤엄쳐 육지에 닿았다. 충렬은 어머니를 찾아 헤맸다. 충렬은 유심이 유서를 남겼던 굴원의 사당에서 선비 강희주를 만난다. 한때 승상(높은 벼슬)이었던 강희주는 충렬이 유심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보살피며 자신의 딸과 결혼시킨다.
15살이 되던 해, 강승상은 간신 정한담과 최일구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가 귀양 떠나고 가족은 노비로 전락하는 신세가 된다. 충렬은 관덕산 백룡사로 도망쳐 노승에게 무술을 배우고 학문을 익혔다. 충렬은 도술을 부리고 하늘과 땅의 이치를 터득하였다.
이 무렵, 토번과 가달이 명나라 수도 남경에 쳐들어왔다. 정한담과 최일귀는 적군에게 항복하는 척하며 나라를 넘긴다. 황제는 금산성으로 몸을 피한다. 충렬은 용린갑이라고 써진 갑옷과 일광주가 쓰인 투구, 장성검이라고 세겨진 칼을 착용하고 황제를 구한다.
충렬은 군대를 지휘하는 최고의 벼슬에 임명되고 역적과 오랑캐 무리를 쫓는다. 정한담은 옥관 도사의 도술을 이용해 전쟁에 임한다. 정한담은 충렬을 당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유심을 찾아가 협박한다. 충렬이 한눈 판 사이 정한담은 궁궐로 쳐들어와 황제와 가족을 붙잡는다. 충렬은 정한담의 양팔을 자르고 황제를 구한다.
충렬은 황제의 가족을 구하기 위해 오랑캐를 뒤쫓는다. 충렬은 아버지가 살아계신다는 사실을 알고 아버지를 찾는다. 황제는 유심에게 다시 벼슬을 내리고 정한담과 최일구 가족까지 모두 사형시킨다.
충렬은 강승상을 찾기위해 가달로 향한다. 충렬은 마철을 죽이고 가달 왕과 옥관도사를 사로잡는다. 충렬은 강승상을 구하고 남경으로 돌아가는 길에 어머니와 헤어졌던 강가에 들린다. 그곳에서 유심의 친척을 만나게 되고 어머니와 상봉하게 된다.
남경을 향하던 길 영릉에서 한 기생을 만난다. 그 기생은 노비로 끌려가는 충렬의 아내를 딸로 삼아 보살피고 있었다. 충렬은 아내를 만나 남경으로 돌아온다. 황제는 역적을 사형시키고 충렬에게는 남평과 여원이라는 두 나라를 다스리도록 했다.
군담소설이란 전쟁을 통하여 영웅이 활약하는 모습을 그린 소설을 말한다. 대체적으로 패배했던 전쟁을 배경 삼아 비범한 능력을 가진 주인공의 활약을 통해 전쟁에서 승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전쟁의 패배를 소설 속에서나마 승리로 바꾸고 싶은 사람들의 소망이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충렬전의 배경은 병자호란이며 가달의 정벌을 놓고 전쟁을 주장하는 간신과 현실을 살피며 전쟁을 반대하는 유심의 갈등은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맞서 싸우자는 척화파와 항복해서 피해를 줄이자는 주화파의 대립과 비슷하다.
병자호란은 굴욕적인 패배로 끝났지만 소설에서는 오랑캐를 정벌하고 인질을 구하는 유충렬의 모습을 보며 민족의 자존심을 회복하고자 하는 민중의 소망과 역사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고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웅전 줄거리 요약 주제 특징 (0) | 2025.05.07 |
---|---|
소설 [운영전] 줄거리 등장인물 정보 및 수행평가 (0) | 2024.09.30 |
김시습의 금오신화 중 [이생규장전] 줄거리 (1) | 2024.09.30 |
김시습의 금오신화 중 [용궁부연록] 줄거리 (1) | 2024.09.29 |
구운몽 뜻 주제 배경 인물의 특징 꿈 의미 (1)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