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강원도 정선 고을에 한 양반이 살고 있었는데 어진 성품에 글 읽기를 좋아해 학문이 뛰어났다. 하지만 매우 심하게 가난하였다. 그래서 아내한테 글만 읽는 양반이 무슨 소용 있냐는 모욕적인 말을 듣는다. 어디서 많이 본 사람 같은데? 허생 아니야? 관가에서 빌려 먹은 곡식이 어느덧 천 석이 되었다. 형편이 어려워 갚지를 못하니 빚만 늘어난 꼴이다.
어느 날, 관찰사가 정선고을에 와서 장부를 보더니 빚쟁이를 잡아 옥에 가두라고 명령한다. 양반의 사정을 안 군수는 고민에 빠졌다.
한편, 건넛마을에는 부자가 살고 있었다. 그는 비록 재산은 많았지만 족보 없는 평민이었다. 양반은 가난해도 높은 대접을 받지만 부자는 재물이 많아도 천한 대접을 받는다며 탄식했다. 부자는 가난한 양반 사정을 듣게 된다. 부자는 대신 빚을 갚아주고 양반자격을 사자고 제안한다. 양반은 그 자리에서 승낙한다.
빚을 갚았다는 소식을 들은 군수는 양반의 속사정이 궁금해 찾아간다. 그런데 평민 옷을 입은 양반이 군수를 보더니 엎드려 절하는 것이 아닌가! 자초지정을 들은 군수는 판매증서를 만들어놓지 않으면 나중에 문제가 생긴다며 마을사람들과 부자를 부른다. 군수는 양반으로 은근히 부자가 양반이 되는 것을 방해한다.
증서는 양반의 도리를 적은 것으로 새벽 일찍 일어나 등잔불을 밝히고, 글을 외외야 한다. 굶주림을 참고 추위를 견디며, 가난하다는 말을 말하면 안된다. 세수할 때는 주먹으로 비비지 말고, 양치할 때도 소리 내면 안 된다. 느리게 걸어야 하며 뛰면 안 된다. 책을 베껴 쓰며 백자씩 써야 한다. 돈을 만지면 안 되고, 더워도 버선(양말)을 벗으면 안 된다. 국물을 마실 때는 소리 내면 안 되고, 술을 마신다음에는 수염을 빨지 말아야 한다. 말할 때는 침을 튀기지 말고 돈내기를 하면 안 된다. 등등
부자는 하지말란 이야기뿐이라며 좋은 점은 없냐고 물어본다. 농사짓지 않는다. 장사하지 않는다. 벼슬에 오를 수 있다. 이웃집 소 끌어다가 자기 땅 먼저 갈기. 일꾼 잡아다가 자기 논 가꾸기. 양반을 업신 여긴 놈 때리기. 등등.
양반은 기가 막히고 어처구니가 없었다. 도둑놈이 따로 없다며 자리를 박차고 달아났다. 그 후로 다시는 양반이라는 말을 입 밖으로 내지 않았다고 한다.
주제와 특징
조선 후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다양한 변화가 생겼다. 농업과 상업이 발달하여 평민 중에서도 부자가 생겼다. 신분질서가 흔들려 실제로 신분을 사고파는 일들이 있었다. 양반들의 무능력과 권위 의식을 풍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양반은 신분을 팔아야 할 정도로 가난하지만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 변화된 현실을 깨닫지 못하고 낡은 학문에 얽매여 있는 무능한 모습을 비판하였다. 또한 양반 증서를 통해 평민들을 괴롭히는 지배층의 부도덕함을 보여주고 있다.
양반의 무능, 비생산성 및 허례의식과 부정부패, 횡포에 대한 비판과 양반을 성망의 대상으로 삼고 신분상승을 노리는 평민 계급에 대한 비판을 보여주었다.
등장인물
양반 - 경제적으로 무능. 현실대응 능력 없음. 풍자 대상
아내 - 경제적으로 무능한 양반을 조롱. 비판.
부자 - 조선 후기 새롭게 등장한 신흥세력. 경제력으로 신분상승을 꾀하지만 양반의 실상을 알고 포기
군수 - 양반 편. 양반 매매 증서를 작성함.
'고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길준의 [서유견문] 서양 기행문 (0) | 2023.09.22 |
---|---|
판소리계소설 장끼전 줄거리 시대배경 (0) | 2023.09.20 |
영암 박지원의 [호질] 줄거리 시대적 배경 (0) | 2023.09.19 |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 줄거리 (0) | 2023.09.19 |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줄거리 (0) | 2023.09.19 |